유용한 정보

주간주행등 (DRL) 사용법, 포지셔닝 램프와는 어떤 차이?

잔즐거림 2022. 5. 3. 01:06
728x90

 

 

 

□ 주간주행등 / DRL (Daytime Running Lamp/Lights)

 

주간에 다른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차량이 주행 중임을 알려주는 등화장치

* 운전자 본인의 시야 확보를 위해서가 아님

 


주간주행등(DRL)이 켜지는 경우

 

1. 엔진 시동 또는 키를 ON 위치로 돌릴 경우

2. 주간에 전조등 레버 AUTO 또는 OFF 상태로 주행 시작 시

 

 

 
주간주행등(DRL)이 켜진 상태

 


 

주간주행등(DRL)이 꺼지는 경우

(차량 종류마다 다를 수 있음)

 

1. 전조등(헤드라이트)이나 전면안개등이 켜진 경우

헤드라이트가 켜지며 주간주행등(DRL)이 꺼진 상태

 

 

2. 파킹 브레이크 체결 시

- 일부 차량 해당 안 됨

 

3. 후진 시

 

++추가. 운전석 문이 열린 경우

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차량은 도어 오픈 시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체결되며 주간 전조등이 꺼진다고 합니다.

 

 

 

주간주행등(DRL) 사용 주의사항!

야간에 헤드라이트가 아닌 주간주행등(DRL)이 켜진 채로 주행할 시

높은 광량으로 인해 상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며,

후미등이 켜지지 않아 주변 차량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
'포지셔닝 램프'와는 어떤 차이?

 

 

미등이 켜지고, 주간주행등(DRL)이 꺼진 상태

 

포지셔닝 램프(미등)은 주행 중 On/Off 조작이 가능하며, 야간에 전조등을 켜도 꺼지지 않습니다.

야간 운전 시 다른 운전자 시야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광량이 낮습니다.

 

 

728x90